가지 않은 길/걸어 보지 못한 길(The Road Not Taken)
The Road Not Taken
Robert Lee Frost(1874~1963)
Two roads diverged in a yellow wood,
And sorry I could not travel both
And be one traveler, long I stood
And looked down one as far as I could
To where it bent in the undergrowth;
Then took the other, as just as fair,
And having perhaps the better claim,
Because it was grassy and wanted wear;
Though as for that the passing there
Had worn them really about the same,
And both that morning equally lay
In leaves no step had trodden black.
Oh, I kept the first for another day!
Yet knowing how way leads on to way,
I doubted if I should ever come back.
I shall be telling this with a sigh
Somewhere ages and ages hence:
Two roads diverged in a wood, and I—
I took the one less traveled by,
And that has made all the difference.
가지 않은 길
노란 숲 속에 길이 두 갈래로 났었습니다.
나는 두 길을 다 가지 못하는 것을 안타깝게 생각하면서,
오랫동안 서서 한 길이 굽어 꺾여 내려간 데까지,
바라다볼 수 있는 데까지 멀리 바라다보았습니다.
그리고, 똑같이 아름다운 다른 길을 택했습니다.
그 길에는 풀이 더 있고 사람이 걸은 자취가 적어,
아마 더 걸어야 될 길이라고 나는 생각했었던 게지요.
그 길을 걸으므로, 그 길도 거의 같아질 것이지만.
그 날 아침 두 길에는
낙엽을 밟은 자취는 없었습니다.
아, 나는 다음 날을 위하여 한 길은 남겨 두었습니다.
길은 길에 연하여 끝없으므로
내가 다시 돌아올 것을 의심하면서….
훗날에 훗날에 나는 어디선가
한숨을 쉬며 이야기할 것입니다.
숲 속에 두 갈래 길이 있었다고,
나는 사람이 적게 간 길을 택하였다고,
그리고 그것 때문에 모든 것이 달라졌다고.
피천득 번역
가지 않은 길
노랗게 물든 숲 속 두 갈래 길을
다 가 보지 못할 일이 서운하여서,
풀섶 속에 길이 구부러지는,
눈 닿는 데까지 오래오래
우두커니 선 채로 바라보았네.
그리곤 나는 갔네, 똑같이 좋고,
사람이 밟지 않고 풀이 우거져
더 나을지도 모르는 다른 길을,
사람이 별로 다니쟎기론
두 길은 실상 거의 같았네.
그리고 두 길은 다 그날 아침
밟히쟎은 가랑잎에 덮혀 있었네.
아 첫째 길은 훗날 가리고 하고!
길은 길로 이어짐을 알았기에
돌아오진 못하리라 생각했건만.
세월이 오래오래 지난 뒤에
나는 한숨 지으며 이야기하리.
두 길이 숲 속에 갈라져 있어
사람이 덜 다닌 길을 갔더니
그 때문에 이렇게도 달라졌다고.
김종길 번역
걸어 보지 못한 길
단풍 든 숲 속에 두 갈래 길이 있더군요.
몸이 하나니 두 길을 다 가 볼 수는 없어
나는 서운한 마음으로 한참 서서
잣나무 숲 속으로 접어든 한쪽 길을
끝간 데까지 바라보았습니다.
그러다가 또 하나의 길을 택했습니다. 먼저 길과 똑같이 아름답고,
아마 더 나은 듯도 했지요.
풀이 더 무성하고 사람을 부르는 듯했으니까요.
사람이 밟은 흔적은
먼저 길과 비슷하기는 했지만,
서리 내린 낙엽 위에는 아무 발자국도 없고
두 길은 그날 아침 똑같이 놓여 있었습니다.
아, 먼저 길은 한번 가면 어떤지 알고 있으니
다시 보기 어려우리라 여기면서도.
오랜 세월이 흐른 다음
나는 한숨 지으며 이야기하겠지요.
"두 갈래 길이 숲 속으로 나 있었다, 그래서 나는-
사람이 덜 밟은 길을 택했고,
그것이 내 운명을 바꾸어 놓았다" 라고.
정현종 번역
김선웅('굽시니스트')은『시사IN』203호(2011. 8. 6 발행)에1) 게재한《본격 시사인 만화》시리즈의 연재 분량에서, 가쓰시카 호쿠사이(葛飾 北斎/Katsushika Hokusai)의2) 판화 작품 1종을 패러디한 표현을 구사하였다.
자료-13)
출처: http://www.sisainlive.com/news/articleView.html?idxno=10879
자료-23)
출처: http://ja.wikipedia.org/wiki/%E5%AF%8C%E5%B6%BD%E4%B8%89%E5%8D%81%E5%85%AD%E6%99%AF
자료-2를 살펴보면, 자료-1의 표현은 김선웅('굽시니스트')이 가쓰시카 호쿠사이의 판화 작품인《가나가와 앞바다의 파도 아래》(《神奈川沖浪裏》)를4) 패러디한 결과임을 파악할 수 있다.
1) 현재 남한에서 발행하는 주간 종합시사잡지들은 매주 월요일부터 최신호의 판매를 시작한다. 따라서『시사IN』203호의 실제 발행일은 2011년 8월 1일이다.
2) http://en.wikipedia.org/wiki/Hokusai 참조.
3) ① 자료-1의 서울 남산은, 자료-2의 후지산을 패러디한 결과이다.
②《가나가와 앞바다의 파도 아래》는 복제본들마다 색상들의 사용 상태 · 세부 표현들이 조금씩 다르다는 실태를 고려하여, 자료-1과 가장 유사한 해당 판화의 복제본 이미지를 자료-2로 제시하였다.
4) http://en.wikipedia.org/wiki/The_Great_Wave_off_Kanagawa 참조.
《먼나라 이웃나라: 중국편》시리즈의〈중화인민공화국〉에 내재한 아시아 최초의 현실사회주의 국가 규정 관련 오류
이원복은1)『중앙일보』에 게재한《먼나라 이웃나라: 중국편》시리즈의 2011. 3. 2 연재 분량인〈중화인민공화국〉에서, 아시아 최초의 현실사회주의 국가는 대륙중국(중국)의 중화인민공화국(中华人民共和国/中華人民共和國/People's Republic of China, PRC)이라고 서술하였다.
(전략)
(후략)출처: 이원복,〈중화인민공화국〉,『중앙일보』14341호(2011. 3. 2, 중앙일보사)
하지만 아시아에는 중화인민공화국이 탄생하기에 앞서 이미 1920년대에 투바인민공화국(Тыва Арат Республик[ТАР]-Tyva Arat Respublik[TAR]/Тувинская Народная Республика/Tuvan People's Republic)과2) 몽골인민공화국(Бүгд Найрамдах Монгол Ард Улс[БНМАУ]-Bügd Nairamdakh Mongol Ard Uls[BNMAU]/Mongolian People's Republic)이라는3) 두 현실사회주의 국가들이 출현하였으므로, 이원복의 해당 서술은 부정확하다.
1) http://ko.wikipedia.org/wiki/%EC%9D%B4%EC%9B%90%EB%B3%B5 참조.
2) ① 1921년~1944년에 존재하였다.
② http://en.wikipedia.org/wiki/Tuvan_People%27s_Republic 참조.
3) ① 1924년~1992년에 존재하였다.
② http://en.wikipedia.org/wiki/Mongolian_People%27s_Republic 참조.
《꼴데툰》시리즈의〈유니세프의 참정신〉에 내재한 국제연합 아동기금(UNICEF) 관련 오류
김근석('샤다라빠')은1)《꼴데툰》시리즈의 2011. 7. 30 게재 분량인〈유니세프의 참정신〉에서, 국제연합 아동기금(United Nations Children's Fund, UNICEF)의2) 본부는 즈네브(제네바)에3) 있다고 묘사하였다.
자료-1
출처: 김근석('샤다라빠'),〈유니세프의 참정신〉
그러나 이 묘사는 부정확하다.
자료-2:
출처: http://www.unicef.org/about/structure/index_headquarters.html
자료-2를 살펴보면, 국제연합 아동기금의 본부는 뉴 욕에 있다는 사실을 파악할 수 있다.
1) http://www.angelhalowiki.com/r1/wiki.php/%EC%83%A4%EB%8B%A4%EB%9D%BC%EB%B9%A0 참조.
2) http://en.wikipedia.org/wiki/UNICEF 참조.
3) http://en.wikipedia.org/wiki/Geneva 참조.
《불암콩콩코믹스》시리즈의 2011. 8. 4 게재 분량인〈부당거래〉에 내재한 풍자 표현 관련 문제점
최의민('최불암')은1) Nate 인터넷 웹사이트에 게재한《불암콩콩코믹스》시리즈의 2011. 8. 4 연재 분량인〈부당거래〉에서, 히어로즈 프로야구단의 이장석 대표이사를 풍자하는 소재로 LG카드라는 신용카드 기업의 명칭을 활용하였다.2)
자료-1:〈부당거래〉에 등장한 LG카드라는 신용카드 기업 명칭의 표현 부분
출처: http://sports.news.nate.com/view/20110804n04319?mid=s1004
하지만 이 표현은, 최의민('최불암')이 LG카드가 이미 소멸하였다는 사실을 무시한 결과이다.
자료-2: 신한카드가 LG카드를 합병한 과정과 관련한 연혁
출처들:
http://www.shinhancard.com/conts/company/shcard_introduction/history/yearOldSh_2007.jsp
http://www.shinhancard.com/conts/company/shcard_introduction/history/yearOldLG_2007.jsp
http://www.shinhancard.com/conts/company/shcard_introduction/history/yearSh_2007.jsp
자료-2를 살펴보면, 2007년에 신한카드가 LG카드를 합병하여 후자가 소멸하였다는 사실을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2011년 현재에는 남한 대중 가운데 압도적 다수가 기억하지 못하게 된 기업의 명칭을 사용한 최의민('최불암')의 해당 표현은, 그가 구사한 이장석 풍자의 효과를 저하시킨 실수라고 평가할 수 있다.
1) http://www.angelhalowiki.com/r1/wiki.php/%EC%B5%9C%EC%9D%98%EB%AF%BC 참조.
2) LG 트윈스 프로야구단과 히어로즈 프로야구단이 2011. 7. 31에 실행한 트레이드를 상징하는 표현이다.
《본격 시사인 만화》시리즈의『시사IN』202호 게재 분량이 내재한 한자 표기 관련 오류
김선웅('굽시니스트')은『시사IN』202호(2011. 7. 30 발행)에1) 게재한《본격 시사인 만화》시리즈의 연재 분량에서, '운명' 이라는 어휘의 한자 표기를 부정확하게 처리하였다.2)
자료-1
출처: http://www.sisainlive.com/news/articleView.html?idxno=10871
김선웅('굽시니스트')의 이런 표현은, '운명' 의 정확한 한자 표기와 관련한 그의 무지가 야기한 결과이다.
자료-2
출처: http://handic.daum.net/dicha/view_detail.do?q=11-08-45-03
자료-3
출처: http://handic.nate.com/dicsearch/view.html?o=1&i=3006
자료-2 · 자료-3 · 자료-4를 살펴보면, 김선웅('굽시니스트')이 '運命' 의 '運' 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였음을 파악할 수 있다.
1) 현재 남한에서 발행하는 주간 종합시사잡지들은 매주 월요일부터 최신호의 판매를 시작한다. 따라서『시사IN』202호의 실제 발행일은 2011년 7월 25일이다.
2) ① 노무현의 핵심 측근 인사였던 문재인이 노무현과 그 자신을 미화하려고 출판한 자서전의 제목과 관련성을 지니는 표현이다.
② 문재인,『문재인의 운명』(가교출판, 2011) 참조.
《본격 시사인 만화》시리즈의『시사IN』200호 게재 분량이 내재한 테크노마트 관련 오류들
김선웅('굽시니스트')은『시사IN』200호(2011. 7. 16 발행)에1) 게재한《본격 시사인 만화》시리즈의 연재 분량에서, 테크노마트의 강변빌딩2) · 테크노마트의 상표를 부정확하게 묘사하였다.
자료-1
출처: http://www.sisainlive.com/news/articleView.html?idxno=10709
김선웅('굽시니스트')의 이런 묘사에서는, 오류들 2개를 발견할 수 있다.
1. 오류-1: 부정확한 테크노마트의 강변빌딩 대상 묘사
자료-2
출처:「"테크노마트 진동, 기초구조 파괴 원인" 주장 나와」,『이투데이』(이투데이, 2011. 7. 5)
자료-4
출처:「강변 테크노마트 팔렸다!···1520억원」,『헤럴드경제』(헤럴드미디어, 2010. 3. 29)3)
자료-2 · 자료-3 · 자료-4를 살펴보면, 자료-1에 등장하는 테크노마트의 강변빌딩 대상 묘사는 김선웅('굽시니스트')이 해당 건물의 외양에 나타난 특징들 가운데 상당수를 무시한 결과임을 파악할 수 있다.
2. 오류-2: 부정확한 테크노마트의 상표 대상 묘사
자료-5 · 자료-6 · 자료-7을 살펴보면, 자료-1에 등장하는 테크노마트의 상표 대상 묘사는 김선웅('굽시니스트')의 착각이 야기한 결과임을 파악할 수 있다.
1) 현재 남한에서 발행하는 주간 종합시사잡지들은 매주 월요일부터 최신호의 판매를 시작한다. 따라서『시사IN』200호의 실제 발행일은 2011년 7월 11일이다.
2) 테크노마트는 강변빌딩 · 신도림빌딩을 운영하고 있다.
3) ①『헤럴드경제』인터넷 웹사이트의 관리 부실 때문에, 자료-4는 Naver 인터넷 웹사이트가 제공하는 해당 기사에서 인용하였다.
②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112&aid=0002054072 참조.
《본격 시사인 만화》시리즈의『시사IN』200호 게재 분량이 내재한 연도 관련 오류들-2
김선웅('굽시니스트')은『시사IN』200호(2011. 7. 16 발행)에1) 게재한《본격 시사인 만화》시리즈의 연재 분량에서, 남한 국가 · 대한체육회(Korean Olympic Committee, KOC)2) · 2018평창동계올림픽유치위원회(PyeongChang 2018 Olympic and Paralympic Winter Games Bid Committee)가3) 23회 동계 올림픽체육경기대회(XXIII Olympic Winter Games)4) · 12회 동계 장애인올림픽체육경기대회(XII Paralympic Winter Games)를5) 유치한 시점은 2010년이라고 서술하였다.
자료-1
출처: http://www.sisainlive.com/news/articleView.html?idxno=10709
하지만 이 서술은, 그저 김선웅('굽시니스트')이 착각한 결과일 뿐이다.
자료-2 · 자료-3을 살펴보면, 김선웅('굽시니스트')의 서술과는 달리 남한 국가 · 대한체육회 · 2018평창동계올림픽유치위원회가 23회 동계 올림픽체육경기대회 · 12회 동계 장애인올림픽체육경기대회를 유치한 시점은 2010년이 아니라 2011년임을 파악할 수 있다. 그리하여 이 오류를 확인한 뒤에, 본인은 김선웅('굽시니스트')의 시간관념이 과연 정상인지 의심하게 되었다.
1) 현재 남한에서 발행하는 주간 종합시사잡지들은 매주 월요일부터 최신호의 판매를 시작한다. 따라서『시사IN』200호의 실제 발행일은 2011년 7월 11일이다.
2) ① www.sports.or.kr 참조.
② 천병혁 기자,「체육회, KOC와 완전 통합 최종 의결」,『연합뉴스』(연합뉴스, 2009. 6. 24) 참조.
3) ① 평창이라는 지명의 표준 로마 알파벳 표기는 Pyeongchang이지만, 2018평창동계올림픽유치위원회는 외국인들의 해당 지명 인지를 촉진하고자 PyeongChang이라는 변형 로마 알파벳 표기를 사용하고 있다.
② www.pyeongchang2018.org 참조.
4) http://en.wikipedia.org/wiki/2018_Winter_Olympics 참조.
5) http://en.wikipedia.org/wiki/2018_Winter_Paralympics 참조.